Introduction to the Zettelkasten Method
Oct 27th, 2020 by Sascha
* Zettel 제텔은 메모의 독일어이고 Kasten 은 상자의 독일어이다.
Zettelkasten은 메모 상자 혹은 영어로는 Slipbox로 번역될 수 있다.
출처 : 제텔카스텐 방법에 대한 소개
2020년 8월 27일 샤샤라는 사람이 제텔카스텐 커뮤니티에 올린 글이다.
루만은 제텔카스텐을 사용한 것이 확실하고 그것으로 눈에 띄는 결과를 이루어내었지만
정확한 방법론을 제시하지는 않았다.
때문에 이에 대한 후대의 여러 가지 해석이 이루어지고 있고
제텔카스텐의 저자 숀케 아렌스, 샤샤, Building a second brain의 티아고 포르테 등이 있다.
루만의 제텔카스텐의 디지털화를 가장 잘 이끌어내고 있는 사람은 샤샤이지 않을까 싶다.
1. 루만의 제텔카스텐
우리는 왜 루만의 제텔카스텐에 열광할까
첫 번째로 우리는 루만 교수 같은 환상적인 생산성을 얻길 원한다.
루만이 이룬 엄청난 업적과 그의 제작 방식이 사람들에게 영감을 주는 것 같다.
두 번째로 루만의 제텔카스텐은 노트 필기와 지식관리에 대한 방식을 상당히 개선해 줄 수 있다.
- 생각의 연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 노력이 낭비되는 것을 멈출 수 있다.
- 더 복잡한 문제에 대처할 수 있다.
- 일반적인 메모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부피가 커지게 된다.
- 하지만 제텔카스텐은 다루고 있는 문제의 크기에 맞추어 크기가 결정된다. - 제텔카스텐 방법은 글을 더 쉽고, 일관되고, 부드럽고, 설득력 있게 만들 수 있다.
각 노트의 고정된 주소
메모를 참조하려면 메모를 식별할 수 있는 고정적이고 고유한 주소가 있어야 한다.
디지털 시대에는 이 문제를 생각할 필요가 없다. “검색”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루만의 시대에는 종이쪽지 뭉치를 다루었기 때문에 그렇지 않았다.
루만의 방법은 다음과 같은 영리한 넘버링 시스템이었다.
루만의 번호 체계는 끝에 다른 문자를 추가하며 인접한 노트 사이에 순서를 만들고
노트를 삽입할 수 있었다.
루만의 번호 체계는 두 가지 결과를 가져왔다.
1. 유기적인 성장이 가능하게 했다.
- 위키 링크가 작동하는 방식과 동일하다.
2. 연결을 가능하게 했다.
- 비선형적인 링크 구조는 하이퍼텍스트의 주요 특성이다.
- 루만 교수는 새 메모를 연결할 수 있다면 어디에 놓는지는 중요하지 않다고 했다.
2. 제텔카스텐은 사고와 글쓰기를 위한 개인적인 도구이다.
루만 교수는 자신의 제텔카스텐을 단단하게 만들지 않고 유기적으로 만들었다.
루만 교수가 자신의 제텔카스텐에 남긴 매뉴얼의 제목은 “제텔카스텐과 소통하기”이다. 루만은 제텔카스텐이 유기적이고 비선형적이며 살아있는 것 같은 두 번째 자아로 보았다.
제텔카스텐의 가장 중요한 특성
1. 하이퍼텍스트이다.
- 일반적인 필기 시스템과 제텔카스텐의 차이는 연결, 관계를 만드는데 중점을 둔다는 것이다.
- 수집이 우선이 아니라 연결이 우선이다. 일반적인 텍스트는 선형이지만 하이퍼텍스트는 유기적이다.
2. 원자성의 원리를 지켜야 한다.
- 각각의 제텔(메모 하나)에는 하나의 생각만 들어있어야 한다.
- 예를 들어 책에는 챕터, 섹션, 페이지가 있지만 이것은 생각이나 아이디어가 아니다. 섹션과 페이지는 좌표에 가깝다.
- 책 전체가 하나의 생각일 수도 있고 한 구절이 하나의 생각일 수도 있다.
- 위키피디아도 생각의 거미줄이 아니다. 위키피디아는 생각을 위한 도구가 아니라 정보검색 도구이다.
3. 개인적이다.
- 한 사람 당 하나의 제텔카스텐만 존재할 수 있다.
- 일기 쓸 때 다른 사람이 볼 수 있다고 생각한다면 어떤 것들은 적지 않거나 왜곡할 수도 있다.
- 자기 자신을 위해 쓰는 것은 사람들을 위해 쓰는 것과 달라야 한다.
제텔카스텐의 개념을 잘 모르는 사람에게 설명한다면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다.
제텔카스텐은 사고와 글쓰기를 위한 개인 도구이다.
제텔카스텐은 생각의 거미줄을 가능하게 만드는 하이퍼텍스트 기능을 갖고 있다.
다른 시스템과의 차이는 일정한 크기와 형식의 메모들 대신 생각의 거미줄을 만든다는 것이고 모으는 것보다 연결을 강조한다는 것이다.
3. 제텔의 해부학
제텔은 크게 3가지 요소가 있다.
3가지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1. 고유 식별자
- 루만은 계층을 포함하는 링크를 할 수 있는 ID를 만들었지만 디지털은 그럴 필요가 없다.
- 시간 기반 ID 202006110955처럼 연, 월, 일, 시, 분, 초 : 가장 간단하고 고유한 ID를 만드는 방법
- 제목을 그대로 ID로 사용하기 : 고유하기만 하다면 ID로 사용할 수 있다.
2. 몸통 : 내용
- 제텔의 몸통에는 지식이 들어있다.
- 가장 중요한 점은 내가 스스로 직접 써야 한다는 것이다.
- 정보 vs 지식
- 정보와 지식이 다르다는 것을 알고 가야 한다.
- 지식과 정보의 차이는 무엇일까 : 정보는 대부분 한 문장으로 요약될 수 있다. 우리는 정보를 바탕으로 지식으로 변환해야 한다.
- 어떤 사실이나 팩트가 아니라 그걸 기반으로 얻은 지식을 써야 한다.
- 생각의 거미줄을 만들고 싶다면 정확히 한 가지 생각을 담은 제텔을 만들면 된다. 발췌문, 정보를 정확히 하나만 담을 수도 있지만 그렇게 한다면 지식의 거미줄을 만들게 될 것이다.
- 하지만 제텔카스텐은 사고에 도움을 주는 데 최적화되어있는 도구이다.
- 제텔카스텐이 프로젝트를 끝내기 위함이라면 시간 기한을 정하거나 한 프로젝트로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 제텔카스텐을 지속하다 보면 부산물들이 계속 생겨나고 그것들은 장기적으로 보았을 때 낭비가 아니지만 프로젝트의 마감기한이 있다면 조금은 타협이 필요할 수 있다.
3. 하단 : 레퍼런스
- 책, 논문, 동영상이 될 수 있다.
- 자신의 생각이라면 어떤 생각에서 생겼는지 적어보자.
- 다른 제텔이 영감의 원천일 수도 있다.
4. 제텔 연결하기
- 연결의 주의사항
- 본문에 내용을 넣고 링크를 걸 수 있다. 지식을 확장시키고 통찰력을 이끌어 낼 수 있다.
- 다만 연결할 때 항상 연결을 만든 이유를 명시해야 한다. 연결 맥락을 써야 한다는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지식이 만들어지지 않는다. 나중에 미래의 내가 이 링크를 보았을 때 왜 링크를 따라가야 하는지 알지 못하면 생각의 거미줄을 만들지 못한다.
- 카테고리 대신 태그를 사용하라
- 태그는 주제 topic 보다는 object, 개념에 대한 걸로 써야 한다.
5. 구조 노트
제텔카스텐이 제텔들 끼리의 연결된 생각의 거미줄만 이어서는 안 된다.
어떤 계층 구조는 매우 유용하게 작용할 수 있다.
구조 노트는 다른 제텔과 그 관계에 대한 제텔이다.
특정한 주제에 대한 모든 제텔로 특별히 만들어진 INDEX 목차와 유사하다.
같은 주제에 대한 제텔을 작성할 때마다 구조 노트에 링크를 배치해야 한다.
'생산성 > 제텔카스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옵시디언 구글 드라이브 동기화 (2) | 2022.09.10 |
---|---|
제텔카스텐이 뭐야? Zettelkasten (0) | 2022.09.05 |
구글킵 활용방법 모바일에서 가장 빠르게 사용하기 (0) | 2022.09.01 |
구글킵 바탕화면 pc에서 가장 빠르게 사용하는 법 (1) | 2022.08.31 |
업노트 문단, 헤드링크, 하이퍼링크 대시보드 만드는 법 3편 upnote (0) | 2022.08.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