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 로그를 쓰기 전에 먼저 써야 하는 페이지가 있는데 그게 먼슬리 로그 페이지이다.
한 달이 끝나면 그 달 말에 혹은 다음 달 1일이 작성하는 게 제일 좋을 것 같다.
쓰는 방법은 불렛 저널의 원리가 그렇듯 간단하다.
먼슬리 로그 페이지 만들기
1. 노트를 펼쳐 양쪽에 위에 그 달의 이름을 적는다.
2. 왼쪽 페이지에는 1부터 31까지 적고 내가 알아보기 쉽게 요일을 적는다.
원하면 1주 단위로 끊는 선을 표시해주어도 좋겠다.
3. 맨 아래쪽에 쪽수를 적는다.
4. 앞 쪽 index 페이지에 그 달의 이름과 페이지를 적는다.
나의 8월 먼슬리 로그.
작성하는 방법은 자유로울 수 있겠지만 나는 라이더 캐럴의 방식을 가장 베이식 하게 따르고 있다. 해빗 트래커도 라이더 캐럴 유튜브에서 참조한 것.
나의 작성방법
1. 오른쪽 페이지에는 이번 달에 내가 해야 할 일, 하고 싶은 일들을 주욱 적는다.
하루하루 지나며 몇 개가 추가되기도 하고 나중에 봐서 필요 없다고 생각되는 것은 취소선을 그어 없애기도 한다.
2. 왼쪽 페이지 날짜 옆에는 그날의 일정을 적는다.
다만 예정된 일정을 적으면 그 일정이 옮겨졌을 때 알아보기 힘들어질 수 있어 나는 지나간 일정을 적는다. 이 일정을 적는 이유는 그날 어떤 행사가 있었는지 한눈에 알아볼 수 있기 때문이다.
3. 왼쪽 페이지의 우측 끝에는 매일 하는 습관을 적는다.
간단하게 알파벳으로 불렛을 표현하면 깔끔한데 처음에는 헷갈릴 수 있으니 아래쪽에 주석처럼 적어두는 게 좋다. 대략 V는 비타민 섭취, M 은 모닝 루틴, N는 night routine이다.
습관을 실행했으면 x 아니면.으로 두어서 표시한다. 이렇게 하면 얼마나 연속적으로 잘하고 있는지 볼 수 있고 또한 왼쪽에 그날의 행사 목록을 보고 이 날 습관을 실행하지 못한 이유를 유추할 수도 있다.
4. 데일리 로그를 계획할 때 앞 쪽의 먼슬리 로그 페이지를 펼친다.
전날 저녁이나 당일 아침 데일리 로그를 계획하면서 무슨 일을 할지 잘 모르겠으면 앞의 먼슬리 로그를 보자. 그중에 하고 싶은 일 혹은 해야 할 일을 해당 데일리 로그 계획할 때 적는다. 그날 저녁 할 일을 완수해서 x 표시했다면 앞에 먼슬리 로그의. 에 x표시를 해주자.
한 달이 다 지나면 내가 이번 한 달 동안 무슨 일을 했고 무슨 일을 못 했는지 두 페이지로 한눈에 볼 수 있을 것이다.
'생산성 > 베이직 불렛저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베이직 불렛저널 - 활용법 성찰 reflection (0) | 2022.08.29 |
---|---|
베이직 불렛저널 - 인덱스, 불렛저널은 모듈러다. (0) | 2022.08.27 |
베이직 불렛저널 - 퓨처로그 & 이동 migration (0) | 2022.08.25 |
베이직 불렛저널 - 데일리 로그 Daily log (0) | 2022.08.19 |
베이직 불렛저널 - 빠른 기록 rapid logging (0) | 2022.08.17 |
댓글